서울/의정 일반뉴스

  • 서울지역 >
  • 서울/의정 일반뉴스
권성동 원내대표, AI G3 도약을 위한 현장 간담회
배명희 2025-03-07 추천 0 댓글 0 조회 102

 


권성동 원내대표, AI G3 도약을 위한 현장 간담회 ​​

 

 권성동 원내대표는 2025. 3. 6.() 10:30, AI G3 도약을 위한 현장 간담회에 참석했다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권성동 원내대표>

 

  먼저 날로 치열해지는 글로벌 AI 전쟁의 최전선에서 싸우고 계시는 우리 기업인 여러분께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지금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세계 최대 이동 통신 전시회인 모바일 월드 콩글레스 2025’가 열리고 있다여기에서 화웨이샤오미와 같은 중국 기업들이 딥시크에 기반을 둔 혁신적인 AI 기술을 여럿 공개해 주목을 받았다고 한다.

 

  지난 1월 딥시크 ‘R1’ 모델이 공개되면서 전 세계에 충격을 빠뜨린 지 두 달이 채 지나지 않았는데 벌써 딥시크 기술을 적용한 다양한 중국의 산업 기술이 우리를 위협하는 실정이다중국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이 있었기에 가능했던 비약적인 성장이다지금 전 세계가 AI 전쟁 중이다말로만 전쟁이 아니다과거에는 전쟁의 무기가 총칼이었고총칼을 만들기 위해서는 풍부한 철광석과 제련 기술이 필요했다면, 21세기 전쟁에는 반도체와 AI 기술이 필요하다그래서 미국중국그리고 세계 각국이 AI 기술 우위를 점하기 위해서 수백 조 단위의 대규모 투자 경쟁을 벌이고 있다.

 

  다행히 우리나라도 오늘 여기 계신 여러분들을 포함한 많은 기업인들의 헌신과 노력 덕분에 나름대로 AI 강국의 면모를 갖춰 나가고 있다오늘 간담회 제목이 AI G3 도약을 위한 현장 간담회이다미국중국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AI 강대국이 되겠다는 뜻을 담고 있다하지만 저는 우리가 3등이나 3강에 만족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 AI도 세계 1세계 일류를 목표로 해야 한다우리 기업인들과 기술자들의 역량은 세계 일류이다그런데 우리 정치권의 지원은 여전히 부족하고 미흡하다고 생각한다.

 

  작년 말에 전 세계 두 번째로 AI 기본법을 국회에서 통과시켰고지난달에는 정부가 내년 상반기까지 총 1만 8천 장 규모의 GPU를 보급하고데이터 규제를 완화하며 세제 혜택과 같은 대책이 담긴 국가 AI 역량 강화 방안을 발표했다하지만 현장에서 뛰고 계신 여러분이 체감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할 것이라 생각된다.

 

  오늘 여러분의 이야기를 경청하고필요한 규제 개선과 예산 지원을 할 수 있도록 정부와 적극 협의해나가겠다저희 국민의힘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분은 인재 양성이다기술 혁신을 만드는 인재를 길러내야 한다당정은 AI를 비롯한 첨단전략 기술 학과에 대해 파격적인 국가 장학제도를 도입하고중장기적으로는 무상교육을 실현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는 말씀을 드린다.

 

  현장에 답이 있다는 말을 자주 하는데 앞으로도 이렇게 현장에 자주 나와서 기업인들의 목소리를 경청하고소통하겠다는 약속을 드린다다시 한번 바쁘신 가운데서도 이렇게 귀하게 시간을 내주시고 함께해 주신 기업인 여러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를 드리면서 여러분들이 건승할 수 있도록 최대한 저희들도 노력하겠다감사하다.

 

<김상훈 정책위의장>

 

오늘 AI G3 도약을 위한 현장 간담회에 초대해 주신 우리 박준성 부사장님 또 배경훈 AI 연구원장님 또 AI 산업 대표자 여러분들 감사하다우리 학계에서도 서승우 교수님서성일 부회장님께 감사하다는 말씀을 드리겠다.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직후에 발표한 게무려 730조 원 규모의 스타게이트 프로젝트를 하고 있는데뒤이어 마크롱 대통령도 163조 원 정도의 AI 산업 투자 계획을 갖고있다최근에 AI 산업계에서 우리당 쪽으로 주문하시는 말씀을 들어보면 국가적 차원의 지원이 절실하다는 그런 요지의 말씀을 많이 해주신다.

 

  그래서 AI 산업 발전에는 또 무한대의 전력 공급이 필요하기 때문에 국가기간전력망 확충도 필요하고특히 인재 양성이 절대적이라는 말씀을 많이 하신다우리가 미국중국보다는 현저하게 뒤져있는 게 AI 인재의 영입유치양성이라는 부분이 나왔다조금 전에 우리 권성동 원내대표님 말씀하셨지만, AI 산업이 포함된 첨단전략 기술산업과 관련된 인재 양성을 위해서 정부 측과 협의해서 파격적인 장학금 제도중장기적으로는 무상교육을 실시해서 인재를 길러내고또 기업 측에서 필요로 한다면 그런 자원들이 해외 유학 거쳐서국내에서 AI 산업에 종사할 수 있도록 하는 또 제도적인 지원 정책도 필요하지 않겠나 하는 그런 생각을 갖고있다.

 

  최근에 언론에서 도대체 지금 추가경정예산은 어떻게 돼가고 있냐 이제 관심을 많이 갖고 있는데그 방향은 크게 세 가지로 일단 정했다소상공인 지원을 포함한 민생 지원 그다음에 트럼프 신행정부의 출범에 따른 통상 지원 그리고 이제 오늘 간담회 주제가 되는 AI 산업과 같은 미래전략산업의 지원과 관련된 예산 편성을 정부도 염두에 두고 있고우리도 국민의힘도 정부 측에 이런 방향성에 맞춰서 예산을 편성해 줄 것을 요청을 하고 있다.

 

  AI 산업과 관련해서는 금년도 본예산이 1.8조 원인데추가 경정 예산에는 본 예산보다 더 많은 규모의 예산 편성을 좀 현재는 요구를 해놓고 있다그래서 오늘 주시는 여러 가지 고견을 참고해서 정부 측하고 또 예산정책여러 가지 지원책을 논의하겠다는 말씀을 드리겠다감사하다.

 

<안철수 AI 특별위원회 위원장>

 

  아마 많은 분들께서 알고 계시겠습니다만이재명 대표께서 이제 AI 쪽에 관심을 가지고여러 가지 이야기를 하고 있다그 자체는 저는 참 바람직하다 이렇게 생각한다그런데 그 방향에 대한 우려점도 제가 지적하지 않을 수가 없었다그러니까 일단은 하신 이야기가 NVIDIA가 만약에 뭐 한국에 있다면 30% 지분을 국민들에게 나누면 세금을 걷을 필요가 없는 것 아닌가 이런 말씀을 하셨다.

 

  근데 그걸 보면 뭘 떠올리시겠는가사실 제가 그 이야기를 처음 들으면서 생각한 것이 어떻게 해서 이런 스타트업들이 탄생이 되고어떤 경쟁 과정을 거쳐서 어떤 식으로 또 도중에 여러 가지 난관을 극복하고 다시 대기업이 되는 이런 전체적인 기업의 성장 사이클에 대한 이해가 너무나도 부족하다저는 그런 생각들을 하게 됐다.

 

  그러니까 여러분들도 정말 잘 아시다시피 이 NVIDIA라는 회사 자체가 생긴 지가 굉장히 오래됐지 않는가그러니까 제일 처음에는 그래픽 만드는 회사로 시작을 했다. CPU라는 게 원래 컴퓨터의 브레인에 해당되는 것이지만 직렬 연산을 하는 것인데그림을 그리기 위해서는 병렬 실수 연산이 필요해서 그래서 그림 그리기 위해서 GPU를 만들기 시작한 것이 바로 이제 NVIDIA의 시작 아닌가그런데 정말 시기가 잘 맞아떨어져서 인공지능 딥러닝을 할 때 마침 필요한 게 병렬 실수 연산이기 때문에 이 GPU 칩 가지고 지금까지 이렇게 발전해 온 게 이 NVIDIA의 역사이다.

 

  그래서 우선은 초창기에 투자하면 될 거 아닌가물론 그런 경우들이 있다. TSMC도 사실 대만의 과기원 같은 우리나라 카이스트 같은 곳에서시작을 했기 때문에 처음에는 정부 지분이 많았다가 이제 점차 국민주로 등으로 해서 줄여 나갔던 그런 전례가 있다그런데 저는 그것과는 좀 다르게 초창기에 만들어진 회사는 아까 제가 NVIDIA가 처음에 인공지능을 하기 위한 회사가 아니었고 그래픽을 하기 위한 회사였기 때문에 처음에는 이 회사가 정말 성공 가능성이 있을지 없을지를 알 수가 없는 것 아니겠는가.

 

  그래서 처음 투자를 하는 일종의 국부펀드를 만든다고 할 때 그 참여자들은 실패 가능성이 굉장히 높다는 걸 충분히 알고 거기에 의지가 있는 분들만 참여를 시키는 게 저는 맞다고 본다그다음에 또 이게 성공을 했단 말이죠성공을 했다면 거기에 대해서는 그 지분 자체를 사실은 정부가 그대로 가져올 수는 없다그리고 또 그 지분 자체가 지금 현재 보면 시가총액이 3 trillion 달러 정도 된다.

 

  그중에서 30%면 계산해 보니까 1,400, 1,500조 정도가 된다그러니까 우리나라 국민연금 규모가 1,200조 정도 약간 넘으니까 우리 국민연금보다 많은 셈이다즉 NVIDIA같은 회사의 30% 지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우리가 가지고 있는 국민연금 모두를 쏟아 붓고그래도 돈이 모자라서 국채를 발행하고 빚을 얻어서 해야지만 그 지분을 우리가 획득할 수 있는 거다그러고 나서 국민한테 나눠준다는 건 이건 실행 가능성이 없는 불가능한 이야기를 지금 하고 있는 것 아니겠는가.

 

  그래서 저는 그것보다는 제가 기대를 했던 것은 어떻게 하면 우리나라에서 스타트업이 보다 더 잘 만들어질 수 있을 건지그다음에 일단 만들어진 스타트업이 실력만 가지고 있으면 경쟁만을 통해서 공정한 경쟁을 통해서 대기업도 이길 수 있는중소기업이 대기업도 이길 수 있는 그런 공정한 시장 구조를 만드는 것이런 경제 사회 구조 개혁이 필요하다그게 우리가 해야 될 그런 길이다 이런 말씀을 드리고 싶다.

 

  그리고 또 그런 사회 구조 개혁뿐만 아니라 인재를 기르는 일도 아마 여러분들 많이 아실 텐데프랑스 파리에 가보면 에꼴 42’라는 회사가 있다물론 실리콘밸리 쪽에 프리몬트에 보면 실리콘 밸리 42’가 있고, 그러니까 보면 교수가 없이교재가 없이 그냥 입학생들이 과제를 풀면서 레벨을 높이는그래서 전문가가 되는 그 코스이다.

 

  근데 지금 현재는 코딩을 위주로 되어 있습니다만저는 어쩌면 에콜 폴리테크니크가 이제 좀 발전을 하게 되면 훨씬 더 이 AI 기술자들을 많이 만드는 데 굉장히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거로 생각한다그런 것들을 포함해서 여러 가지 법률적인 규제 개혁이라든지 또 새로운 사업 부분이라든지 이런 부분들 최대한 노력하겠다는 말씀을 드리겠다.

 

 

 

2025. 3. 6.

 

국민의힘 공보실 

자유게시판 목록
구분 제목 작성자 등록일 추천 조회
이전글 권성동 원내대표, 원내대책회의 개최 배명희 2025.03.07 0 98
다음글 권성동 원내대표, AI G3 도약을 위한 현장 간담회에 참석 배명희 2025.03.06 0 115

발행인 편집인 배명희/미디어국장 박은총/청소년보호책임자 배명희/박영철/김포시 김포한강10로 133번길 127,디원시티 410호/제보: bbb4500@naver.com /전화 031-997-2332 fex0505-115-3737/한강아라신문방송 등록일 2019.2.25/개업일 2019.3.5:경기, 아51427/법인등록번호):725-88-01033/사업자등록번호:124411-0229692/일간주간신문(한강조은뉴스)등록:경기,다50660 /계좌(주)한강아라신문방송) 농협 301-0246-6695-21/하나 589-910018-56004 주)한강아라신문방송을 통해 제공되는 모든 콘텐츠는 무단 사용,복사,배포시 저작권법에 저해되며,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주)한강아라신문방송. All Rights reserved. MADE BY ONMAM.COM

  • Today1
  • Total572,353
  • rss
  • facebook
  • facebook
  • facebook
  • facebook
  • face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