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면선, 공군 KF-16 조종사, ‘헬멧 장착형 디스플레이’5명이 1개로 돌려 쓴다 |
- 조종사 생존성과 기동성 위해 필수...정작 우리 주력기인 KF-16엔 없어 - 황명선 의원 “조종사별 지급 원칙 지켜지지 않으면 무용지물...실질적 보급계획 필요” |
대한민국 공군의 주력 전투기인 KF-16 조종사들이 핵심 전투장비인 헬멧 장착형 디스플레이(HMD·Helmet Mounted Display)를 예산부족으로 충분한 수량을 확보하지 못해, 조종사 5명당 1개씩 보급받아 장비를 돌려쓰는 상황에 놓인 것으로 드러났다.
공군은 현재 F-35A 전투기에만 HMD를 장착해 운용 중이며, 주력기인 KF-16에는 아직 도입하지 않았다. HMD는 조종사가 고개를 돌려 시선을 향한 방향으로 미사일을 조준할 수 있게 해주는 첨단장비로, 전투 중 계기판을 일일이 확인해야 하는 부담을 덜고 생존성과 기동성을 높여준다.
공군은 KF-16 성능개량사업을 통해 AESA(능동전자주사식) 레이더와 신형 임무컴퓨터, 전자전 장비 등을 업그레이드하면서 HMD 운용을 위한 내부 배선까지 설치했지만, 예산 부족으로 HMD는 채택하지 못한 상황이었다.
그러던 중,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공중전력 강화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공군은 HMD 도입을 ‘현존전력극대화 사업’에 포함시켜 27년까지 도입키로 했다. 일반적인 무기체계 절차를 밟으면 10년 가까이 걸리기 때문이다.
하지만, 공군이 황명선 의원실에 설명한 바에 따르면 확보된 예산은 2025년도 200억 원에 그쳤다. 공군은 이 예산으로 40 여개의 HMD만 구매해 2027년까지 보급할 계획이다. 이는 KF-16 조종사 전체의 약 20%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졌다.
결국, 각 비행단에 배속된 조종사들이 한정된 HMD를 교대로 사용하는 ‘돌려쓰기’ 를 피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문제는 HMD가 조종사별로 정밀 보정(calibration)이 필요하고, 평시 숙련훈련이 없으면 실전에서 즉시 운용할 수 없다는 점이다.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황명선 의원은 “현재 계획대로라면 HMD보급을 통한 전력강화는 턱없이 부족하다. 조종사별 지급 원칙이 지켜지지 않으면 HMD는 무용지물이 될 것”이라며 “국방부는 임시방편이 아니라, 실질적 전력강화를 위한 보급계획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공군은 27년 보급 이후 HMD 추가 확보를 추진한다는 입장이지만, 현재로선 구체적 확보 계획은 없다.


댓글0개